안내
- 홈
- 무인정보단말기
- 안내
개요
무인정보단말기(키오스크) UI(사용자 인터페이스) 가이드는 무인정보단말기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할 때 필요한 UI 디자인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문서이다. 이 가이드는 사용자 경험(UX)을 향상시키고, 사용자가 무인정보단말기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. 무인정보단말기의 UI는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해야 하므로 장애인을 위한 보조 기술 및 기능성을 고려하여 UI를 설계하도록 지침을 제시한다.
가이드 구성
본 가이드는 무인정보단말기의 UI 원칙, 대분류 프로세스, 대분류 UI 가이드, 장애 유형별 UI 가이드로 구성되어 있다.
- 무인정보단말기의 UI 원칙
UI 원칙은 무인정보단말기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위해 무인정보단말기 UI 설계 시 준수해야 할 기본 원칙과 방향성을 담고 있다. - 무인정보단말기 대분류 프로세스
제시한 공통 프로세스는 일관된 무인정보단말기 UI를 설계하고 디자인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. - 무인정보단말기 대분류 UI 가이드
대분류 UI 가이드에는 무인정보단말기의 공통 UI 가이드 및 대분류 UI 가이드가 포함되어 있다. 본 가이드는 무인정보단말기의 UI 설계 시 필요한 지침 및 권장 사항을 제공한다. - 장애 유형별 UI 가이드
장애 유형별 UI 가이드는 시·청각 장애인에게 무인정보단말기의 음성 안내, 점자 표시, 수어 안내를 제공하는 방법을 안내하기 위하여 제작했다.
무인정보단말기 관련 법령 및 표준
7종의 국내 접근성 법령 및 표준, 4종의 해외 접근성 법령 및 표준을 참고하여 무인정보단말기 UI 가이드를 작성했다.
국내 접근성 법령 및 표준
기관 | 국가 | 작성년도 | 제목 |
---|---|---|---|
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| 한국 | 2023 | 우선구매대상지능정보제품 검증 및 시험평가기관 지정 등에 관한 지침 |
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| 한국 | 2022 | 무인정보단말기 접근성 지침 (KS X 9211) |
과학기술정보통신부 | 한국 | 2022 | 장애인·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고시 |
서울디지털재단 | 한국 | 2022 | 고령층 친화 디지털 접근성 표준(무인정보단말기 적용가이드) |
과학기술정보통신부 | 한국 | 2022 | 한국형웹콘텐츠접근성지침 2.2 (KSXOT0003) |
행정안전부 | 한국 | 2020 | 행정사무정보처리용 무인민원발급기(KIOSK) 표준규격 |
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| 한국 | 2018 | 장애인을 위한 CD/ATM 표준 |
해외 접근성 법령 및 표준
기관 | 국가 | 작성년도 | 제목 |
---|---|---|---|
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| 유럽 | 2019 | European Accessibility Act (EAA) |
The U.S.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| 미국 | 2013 | The US Air Carrier Access Act (ACAA) |
Federal government | 미국 | - | Section 508 of the Rehabilitation Act (RA) |
The Department of Justice | 미국 | 2010 | 2010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(ADA) |
무인정보단말기 분류
대분류
선행 연구(NIA 연구반, 22년)를 통해 사용자의 무인정보단말기 활용 목적 및 개별 업체의 자율성을 고려하여 4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. 본 가이드는 대분류 UI 가이드를 제공한다.
유형 | 설명 |
---|---|
유통(결제형) | 상품코드(바코드 등)를 사용자가 직접 스캔해서 제품을 구매하는 유형 ※ 예. 대형마트, 편의점 등 |
주문(티켓형) | 직원의 도움이 필요한 음식물 등의 주문 및 구매 ※ 예. 커피숍, 패스트푸드점 등 |
발권(티켓/서류) | 요청에 대해 정보처리 후 인쇄물 제공 ※ 예. 무인민원발급기, 무인처방전발행기, 셀프체크인(공항, 교통) |
안내 |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정보 제공 ※ 예. 관광정보시스템, 정보제공시스템, 안내시스템 등 |
중분류
무인정보단말기 관련 고시인 「장애인·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고시」(과기정통부, 22년)에서 16개 유형으로 분류되어 있으며, 아래 표는 대분류와 대응하여 매핑한 결과이다.
대분류 | 중분류 |
---|---|
유통 | (1)무인주유기 (2)무인주차정산기 (3)무인결제기 (4)무인도서대여반납기 |
주문 | (5)무인주문기 |
발권 | (6)무인민원발급기 (7)무인발권기 (8)무인발매기 (9)무인증명발매기 (10)셀프체크인 (11)무인처방전발매기 (12)금융자동화기기 |
안내 | (13)종합정보시스템 (14)위치정보시스템 |
기타 | (15)무인사용자인증기 (16) 기타(사물함, 택배함 등) |
용어와 정의
본 무인정보단말기 UI 가이드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의 용어와 정의를 적용한다.
용어 | 정의 |
---|---|
무인정보단말기 (self-service kiosk) |
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류 발급, 정보 제공, 상품 주문 및 결제 등의 사항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. [출처: 지능정보화기본법 시행령 제34조 제1항 3호, 2021] |
접근성(accessibility) | 제품, 시스템, 서비스, 환경 및 시설이 특정 사용 상황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요구, 특징, 능력을 지닌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. [출처: ISO 9241-11, 2018, 3.2.2] |
사용성(usability) | 제품의 이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였는지, 목적을 가능한 편리하게 수행하였는지, 전반적인 사용 만족도는 어떠한지와 같은 요소들로 측정될 수 있는 복합적인 이용 편의성을 의미한다. |
사용자 경험 (User eXperience, UX) |
사용자가 어떤 시스템, 제품, 서비스를 직·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 경험이다. 단순히 기능이나 절차상의 만족뿐만 아니라 지각 가능한 모든 면에서 사용자가 참여, 사용, 관찰하고 상호 교감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가치 있는 경험을 말한다. |
인터페이스(interface) | 사물 간 또는 사물과 인간 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일시적 혹은 영속적인 접근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·가상적 매개체를 의미한다. |
사용자 인터페이스 (User Interface, UI) |
사용자와 무인정보단말기 사이에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물리적, 가상적 매개체를 말한다. |
화면, 디스플레이(display) | 무인정보단말기 조작으로 또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정보 표시 장치를 의미한다. 디스플레이는 무인정보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동적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다. |
컨트롤(control) 사용자 컨트롤(user control) |
버튼 또는 위젯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누르기 동작으로 기능을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를 의미한다. [출처: ISO 11783-1, 2007, 3.8] |
레이블(label) | 입력 상자, 표, 사용자 컨트롤 또는 개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제목을 의미한다. 레이블은 무인정보단말기 기기 표면에 인쇄된 것일 수도 있고,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로 제공될 수도 있다. |
픽토그램(pictogram) | 사람들을 안내하고 주어진 목표 달성 방법을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단순화된 그림 표현을 의미한다. 픽토그램은 그래픽 표현으로 문자를 최소한으로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한다. [출처: ISO/IEC TR 20007, 2014, 2.10] |
아이콘(icon) | 객체 동작 또는 기능을 표현한 그래픽 콘텐츠를 의미한다. 기능이 정의된 아이콘은 내비게이션 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하고 실행할 수 있다. [출처: TTAK.KO-10.0772: 2014, 4.1] |
초점(focus) | 화면 안에서 프로그램 동작 또는 사용자의 행위로 어떤 요소가 선택된 경우에 초점이 그 요소에 있다고 말한다. 어떤 요소가 선택되었다는 것은 그 요소가 사용 가능 상태임을 의미한다. 대부분의 응용 소프트웨어에서 초점을 받은 요소는 다른 요소와 구분할 수 있게 밑줄을 보이게 하거나, 테두리를 씌우거나 색을 변경하는 등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. [출처: ISO 9241-171, 2008, 3.21] |
명도 대비(contrast) | 화면의 배경색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 및 텍스트를 표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전 경색 사이의 명도 차이의 비율을 의미한다. |
의미 있는 콘텐츠 (meaningful content) |
무인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며, 무인정보단말기를 이용하는데 필수적인 콘텐츠를 의미한다. 의미 있는 콘텐츠가 생략되거나 누락 되면, 사용자가 무인정보단말기를 이용할 수 없거나 어려움이 있다. |
대체 수단 (alternative method) |
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(대화)을 대체하기 위한 콘텐츠로, 자막, 구술된 내용을 글로 옮긴 대본, 수어 등이 있다. 자막과 대본은 텍스트 콘텐츠이며, 수어는 미디어 형식의 대체 콘텐츠다. |
대체 텍스트 (Alternative text) |
텍스트 아닌 콘텐츠를 대신하기 위해 제공되는 등가의 텍스트를 의미한다. |
개인정보 | 살아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성명, 주민등록번호 및 영상 등을 통하여 누구인지를 알아볼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. 개인정보만으로는 특정인을 알아볼 수 없다고 하더라도,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. [출처: 개인정보보호법 제2조, 2017. 10. 19.] |
생체인식 (biometric identification) |
제출된 생체학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레코드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결정하고, 일치할 경우 해당하는 사용자를 구분하는 일대다의 처리 과정을 의미한다. [출처: KS X ISO/IEC 19794-1, 3.9] |
- 자료 담당자
- 김민수 선임(053-230-1380)
- 최근자료수정일
- 2024-03-25